Prologue
1970년대에 준공된 아파트에서 약 20년 동안 해소되지 않는 재건축 이슈를 마치 공기처럼 여기며 살아온 일상이 이 작업의 출발점이다.
1970년대에 준공된 아파트에서 약 20년 동안 해소되지 않는 재건축 이슈를 마치 공기처럼 여기며 살아온 일상이 이 작업의 출발점이다.
재개발은 한 사람에게 삶의 터전이 바뀌는 굉장히 큰 사건이자 가장 극단의 수동적 체험이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 자발적인 선택에 의한 공간을 갖추기 위해 건축을 공부하게 되었고,
막연하게 느껴왔던 일상 속 문제들을 좀 더 구체적으로 바라보게 되었다.
2016년 건축가들과 함께한 문화예술단체 "골목길" 활동 중 안양 구도심을 답사하고
기록했던 경험이 현재 프로젝트의 직접적 계기가 되었다.
지역 곳곳을 답사하고 기록하면서 자연스럽게 도시형태에 대한 관심이 깊어졌고, 구도심의 실체를 기록하는 일에 매료되었다.
이러한 활동을 기반으로 2017년 지역 청년들이 결성한 문화예술 플랫폼 '주밍안양'에 합류하여
'구의 도시' 프로젝트를 구상하고 첫 사진 연재를 시작했다.
작업의 분류와 가시화를 위해 그라폴리오에 연재를 시작했고, 2018 네이버 그라폴리오 사진창작지원 프로젝트 선정을 통해
본격적으로 프로젝트의 골격이 구체화되었다.
2019년에는 안양공공예술프로젝트 〈APAP6 - 공생도시〉의 지역 초대작가로 선정되어 안양예술공원에서 전시되었다.
구도심을 피사체로 사진을 찍는 행위는 특별한 연출이나 환경적 요소가 적용되지 않은, 일상적으로 경유하는 생활 반경의 트레이싱과도 같다.
즉, 도심이 마주친 그 순간의 솔직한 기록이다.
하지만 그렇게 담긴 사진 속 구도심은 '늘 주변에 있는 존재'에서 벗어나는 일상성의 균열을 담고 있다.
바로 재개발 현장을 포함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렇다.
늘 우리 주변에 있을 것 같던 구도심은 재개발과 재건축을 통해 당연하지 못한, 사라지는 존재로 변모한다.
'구의 도시' 프로젝트를 통해 늘 주변에 있을 것만 같던 지루한 건축물들은 재개발이라는
큰 사건을 통해 다시 한 번 바라보고 되새기게 되는 추억과 기억의 건축이 된다.